2024년 8월 31일 이후 전북, 전남 지역 발전사업허가 접수 중지
2024년 9월 9일 – 서울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 지역의 다수 변전소가 한국전력의 출력제어 최소화 정책에 따라 2024년 8월 31일 이후로 추가 접수를 받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지역에서 발전사업을 추진하려는 사업자들과 지역민들의 반발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출력제어 최소화와 변전소 접수 중단
한국전력은 전력 계통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출력제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당 지역의 계통관리변전소 접수를 중단하고 있다. 전라남도와 전라북도 지역의 변전소 상당수가 이번 정책에 포함되었으며, 해당 조치는 전력 과부하를 방지하고 계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발전사업을 계획 중인 기업들은 예상치 못한 장벽에 부딪히게 되었다.
제주 지역에서는 이미 1MW를 초과하는 발전 허가 건에 대해서는 접수를 중단한 상태였으며, 이번 정책에 따라 1MW 이하의 소규모 발전 허가 역시 2024년 8월 31일 이후로는 접수를 받지 않는 상황으로 파악된다.
지자체와 지역민의 반발 예상
전력 계통 제한에 따른 접수 중단은 발전사업을 계획 중인 업체들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전라남도와 전라북도 지역은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와 풍력 발전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지역으로, 이번 정책이 사업자들에게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지역 전기업체 관계자는 "기존에 계획했던 사업들이 갑작스러운 접수 중단으로 좌초될 위기에 놓였다"며, 사업자들이 준비할 시간이 부족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사업자들의 대응 필요
이번 접수 중단에 따라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 지역에서 발전사업을 추진하려는 사업자들은 향후 발전 사업 계획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추가 접수가 중단됨에 따라 계통 접속이 어려워지고, 이미 제출된 사업 계획에 대한 허가 절차도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사업자들이 해당 정책을 충분히 이해하고 미리 대처하지 않으면 큰 손해를 볼 수 있다"며, "계속해서 변화하는 정책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맞춰 전략을 수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앞으로의 전망
전력 과부하 문제와 계통 안정성 유지가 국가적인 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이번 정책은 신재생에너지 발전 확대와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로 해석되고 있다. 그러나 지역 사회와 사업자 간의 갈등이 예상되는 만큼, 정부와 한국전력이 적절한 조정과 소통을 통해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사업자들은 이번 정책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대처를 통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정부의 에너지 정책 방향에 따라 새로운 기회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기자 : 안정환
연락처 : solarfact@naver.com
전화 : 010-3224-3495